'어쩌다 블로그'라는 이름으로 블로그를 다시 시작한지도 2년이 지났다. 블로그 이름에 영감을 주었던 잡지는 애석하게도 내가 당시 읽었던 2018년 3월호를 마지막으로 발간을 멈춘 듯 하다. 나는 그래도 꾸준히 글을 써서 블로그에 올리기는 했지만, 처음에 계획했던 대로 연구를 지속하기 위해서, 또 학문 코어 근육을 기르기 위해서 쓴 글은 별로 없다. 그저 써야만 하는 글을 공유하거나 ('기고글 모음') 일기장 ('끄적끄적')으로 활용했다. 작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연구 의욕이 넘쳤기 때문에 일부러 글 쓸 일을 만들어서 기한에 맞춰 어떻게든 써냈지만, 작년 중순부터는 꼭 연구가 아니더라도 매사에 의욕이 줄고 무기력해져서 주로 신세한탄하듯 글을 썼다. 

내게 영감을 주고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았던 begray님이나, 바이커님, 해외로 눈을 돌리면 LSE impact blog, Leiden Madtrics, orgtheory.net 등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지만, 그렇다고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생각지도 못했던 사람들로부터 페이스북 글 잘 보고 있다고 할 때 놀람을 넘어 두려움까지도 느꼈기 때문에 - 물론 내가 타인을 너무 의식해서다 - 좀 더 사적인 공간이 필요했다. 동시에 그저 지나가는 생각이더라도, 또 그게 순전히 나에 대한 생각이더라도 하나의 완결된 글로 쓰고 싶었다. 자의식 과잉인 상태로 신세한탄하는 글만 늘어간다면, 그건 그것대로 지금의 나를 보여주는 방식일테다.

2020년 1월부로 이직해서 한 중견 소프트웨어 기업에 다니고 있다. 이전 회사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주로 했다면 여기서는 데이터 분석 툴(Business Intelligence의 준말로 BI라고 부른다; Power BI, Tableau 등 제품이 BI 툴에 해당)을 기획하고 개발하고 있다. 내 블로그 글을 챙겨보는 사람은 없겠지만 몇몇 글을 읽었다면 예상할 만한 이유로 이직했고, 지금 회사가 최소한 그 이유에 해당하는 조건은 충족시켜주고 있어 만족하며 회사생활 하고 있다.

또 작년 봄까지는 당시 회사에서 마련해 준 기숙사에서 살다가, 5월부터 성남동에 자취방을 구해서 살고 있다. 저녁 이후에 방을 보러 다녔다면 여기로 오지 않았을 것 같긴 한데, 그래도 여태 계속 같이 사는 사람이 있었던 것과 달리 온전한 내 공간이 생겼다는 것에 감사하며 살고 있다. 방을 계약하던 시점에 회사와 급여가 조건을 충족해서 받을 수 있었던 중소기업청년전세대출 짱짱이다.

진로 고민이야 앞으로도 계속하겠지만, 연구를 업으로 삼는 것에 대한 회의감이 부쩍 커졌다. 그렇다고 회사에서 하는 일과 그 방향으로의 커리어도 역시 이렇다 할 확신이 들지 않는다. 물론 꾸역꾸역 논문과 책을 읽다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연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곤 하지만, 그저 지적 유희로 게으르게 공부를 즐기는 것과 연구자가 되는 것은 전혀 다른 일이기에 착각에 빠지지 않으려 조심하고 있다. 더불어 연구의 의미 - 주로 목적 - 에 대한 고민도 적지 않다. 이런 고민은 얼마 안 가 '왜 사는지, 어떻게 살 지'라는 질문들로 이어진다. 이전에도 그 질문들에 명확히 답을 할 수 있어서 열심히 산 건 아니었는데, 질문들을 붙잡고 있는다고 확신에 찬 답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대답없이 물음만 자꾸 꼬리를 물고 무는 상태가 반복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루고 또 미뤄온 프로젝트 하나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어떻게든 시작하려고 한다. 제목은 <어쩌다 연구자 뉴스레터>로, 내 관심 연구분야가 이 블로그의 부제처럼 대학과 학문, 연구와 정책인만큼 지극히 내 관심사로만 여러 소식과 연구, 의견을 채워도 많은 연구자들에게 도움 내지는 영감을 줄 수 있겠다는 희망으로 준비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유행하기 한참 전부터 연구와 관련해서는 사실상 거리두기를 하고 있던 나로서는 어떻게든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필요했기에 부족했던 자기표현과 피드백, 즉 지속적인 소통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물론 구독자를 확보해야겠지만...) 또 인정욕구가 작지 않은 내 성격을 이용해서 이렇게 해서라도 무기력에서 벗어나야겠다는 생각도 했다.

단어가 마음에 들어 새로 시작하는 프로젝트에도 '어쩌다'를 붙였지만, 갈수록 이제 '어쩌다'라는 단어만으로 모든 걸 합리화할 수 없는 삶의 단계에 들어섰다는 생각이 짙어진다. 물론 '어쩌다'는 단순한 변명이나 핑계가 아니라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서사가 들어있는, 다만 그것이 너무도 복잡하고 나조차도 형언하기 힘들어 함축한 표현이다. 하지만 그 '어쩌다'를 어떻게든 충분히 풀어서 설명하고 의미를 부여해야 할 때가 있다. 주로 중요한 선택 혹은 결정을 내려야 할 때 그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사실 여태껏 다른 사람이 요구해서 납득시켜야 할 때 말고는 경험해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이제는 순전히 나를 위해서 '어쩌다'를 풀어헤쳐야 할 때다.

요즘은 이런 생각들을 하며 살고 있다. TMI 근황 끝.

'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다시' 시작해보자! 근황 겸 다짐  (0) 2018.05.07

듣자하니 2015년 여름에 시작한 이 블로그를 아산서원보다는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때문에 방문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심지어 나와 함께 석사로 입학한 동기 누나도 글을 봤다고 하니...


그 외로 나와 비슷한 길(공대-아산서원-과학기술정책 관련 대학원)을 걷고 있거나 걸을지 고민중인 분들이 블로그를 통해서 내게 종종 연락을 주시기도 했다. 최대한 성심껏 답변드리기 위해 노력했으나, 나도 이제 겨우 어찌저찌 (이 블로그 제목대로 '어쩌다') 석사를 마친 사람이고, 내가 했던 경험들을 그저 일반화할수는 없기에 최대한 조심스럽게 답하기도 했다.


어쨌거나, 아래 2015년 여름에 블로그를 열며 쓴 글에 담았던 사과문과 비슷한 사과를 다시 해야겠다. 대학원 고민 관련한 글을 번호까지 달아가며 작성해놓고 결국 1번에서 더이상 쓰지 않았으니, 혹 기다린 분들이 있다면 허망하셨으리라 생각한다. 죄송하다.


또한 STP 관련한 이슈나 대학원에서 배운 것들 역시 전혀 업데이트하지 않았으니 이 역시 모두 내가 게으른 탓이다. 


(근데 썼어도 읽는 분들에게 별로 도움이 되진 않았을 것이다.)


내가 2018년에 다시 돌아와 블로그를 시작하는 것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 그 사이에 나는 과학기술정책대학원을 졸업(2016.03~2018.02)하고 한 스타트업에 전문연구요원(석사 병역특례)으로 취직했는데, 나름 큰 전환적인 선택이었다. 물론 정책대학원에서 스타트업으로 전문연 취직한 것도 그렇지만, 앞서 공대에서 정책대학원으로 간 것과 대학원에서 했던 여러 일들도 그렇다. 앞으로도 이런 큰 선택들이 남아있는데 글로 정리해가면서 내 경로를 기록하는 것이 내게도, 글을 읽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다.


- 앞서 말했듯 스타트업에 취업하면서 당분간(최소 3년) 정책연구에 온 시간을 쏟을 수는 없게 되었다. 하지만 나는 여전히 연구에 관심이 있으며, 물론 공식적인 결과는 제출했으나 제대로 마무리 짓지 못한 연구가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내 학위논문연구(LINC-산학협력선도대학 재정지원사업)와 대학원생 권리강화 방안연구(교육부 용역과제)가 있다. 이 블로그의 부제가 '대학과 학문, 연구와 정책'인 이유도 대학원을 다니면서 관심주제 및 연구분야가 이쪽으로 좁혀졌기 때문인데, 위에 언급한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와 더불어 블로그 부제에 해당하는 연구자료-책, 논문, 보고서 등-를 읽고 리뷰할 것이다. 박사유학을 통해 전업 연구자를 꿈꿀 것인지, 혹은 회사에 남아 취미로 연구를 하는 독립연구자를 꿈꿀 것인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지만 어쨌든 연구자가 되기 위해 기본적인 역량을 기르기 위한 루틴을 만들기 위해 블로그를 활용할 예정이다.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게 된 데에는 몇몇 분들의 영향이 크다. 누구보다 begray님(http://begray.tistory.com/)을 직접 뵙고 교류를 하게 되면서 그분이 블로그를 활용하는 모습에 깊은 감명을 받았고, 나 역시 조금이나마 그분을 따라하면서 내 학문적인 코어 근육(?)을 기르고자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어쩌다'라는 이름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월간 '틀'이라는 잡지(https://monthlykwak.net/)의 한 섹션 제목에서 가져왔다. 많은 사회학과 대학원생들이 말그래도 '어쩌다 사회학'을 하게 되었는지 간증(?)하는 섹션이라 할 수 있겠다. 제목을 보자마자 공감할 수 있었던 단어였다. 우리는 흔치 않은 선택을 한 사람에게 '넌 어쩌다 그런 선택을 했니?'라고 묻곤 한다. 워딩은 다를 수 있겠지만 뭐 결국엔 같은 질문이다. 나 역시 서원에서도 대학원에서도 그리고 스타트업에서도 같은 질문을 받아왔고, 또 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받을 예정이다. 그런데 사실 확실한 대답 하나를 원하면서 질문을 하는 사람들의 기대와 달리 내 선택은 그렇게 간단명료하지 않다. 매우 복잡하고 나 역시 매번 다시 고민을 해야만 한다. 이런 생각을 모두 들어줄 사람은 흔치 않다. 누누이 말하는 것이지만 다른 사람은 내게 별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할 수 있는 답도 결국 '어쩌다 그렇게 되었네요'다. 


어쩌다 공대에 다녔고, 어쩌다 아산서원이라는 곳에 들어가 어쩌다 워싱턴 DC에서 AAAS 인턴으로 일하고, 어쩌다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 입학해 석사학위를 받고 졸업했으며, 어쩌다 스타트업에 자리를 잡아 직장생활 및 군생활을 하고 있다. 어쩌다보니 연구가 적성에 맞아 근무 시간 외로는 연구자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어쩌다보니 블로그를 하는 것이 내게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다시) 시작한다. 어쩌다 블로그.


20180507


------


#1 블로그 첫 글


아산서원 때문인지 어떻게 블로그 방문자 수가 수십명이나 있다.

제목에 속고 들어와 아무것도 없어 실망한 분들일텐데....

보실 지는 모르겠지만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서원에서 배우는 것들과 일어나는 일들을 소상히 기록하여 블로그를 남기는 것이 목표였는데,


개뿔.개뿔.개뿔!!!


워싱턴 가서 전인턴 블로그를 페이스북에 올린 것과 네이버 블로그에 워싱턴에 도착한 소감을 잠깐 쓴 것 말고는 기록해 둔 게 없다.....


방학 동안에 서원에서 배운 것들을 복습(?)하는, 혹은 되새김질(!)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블로깅이나 할 걸하고 후회를 하는 지금은 개강 1주 전이라고 합니다.


다른 일 없이 오직 강의와 내 공부에만 집중해서 바쁠 마지막 학기를 남겨두고 있다.

또한 STP 대학원에 들어갈 예정(설마 떨어질까....)이므로 보다 진지하게, 또 본격적으로 관련 공부를 해야 한다. + 대학원에 들어가서 계속 공부를 해야 하기도 하고....


따라서 강의와 STP 관련 책, STP 이슈, 관련 글들에 대해 내 생각을 정리하는 용도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다.(라고 해놓고 이 글 이후로 글을 안 쓰거나 하지는 말자.....제발....ㅋㅋ)


우선 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얼마 안 되는 글들과 페이스북에 있는 #전인턴_블로그 를 옮겨와서 블로그 답게 꾸며놓고, 또 있을지 모르는 나와 같은 길을 걸으려 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주기 위해서! 내 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화이팅!

제발 한 4개월 후에 들어와서 내가 이랬었구나....하는 일은 없기를.....ㅋㅋㅋㅋ


20150824

'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쩌다 근황 2020  (0) 2020.05.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