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의학이 놓치고 있는 삶의 마지막 순간'이라는 부제를 가진 이 책을 읽게 된 건 다름 아닌 회사 세미나 때문이었다. 올해 초에 이미 회사 대표님이 승진자들한테 선물로 이 책을 나눠준 바 있는데, 대표님이 책에 깊은 감명을 받아서인지 그 이후로 계속해서 이 책 이야기를 하시고 사업에서도 책이 지적하는 문제를 다루려고 한다는게 눈에 보였다. 우리 부서에서도 매달 진행하는 책 세미나 때 이 책을 읽기로 했다. 책을 받고 나서 점심시간마다 틈틈이 읽었더니 한달 정도만에 다 읽을 수 있었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라는 제목을 갖고 있어 나 역시 처음에는 약간의 오해를 했는데, 이 책은 '죽음이란 무엇인가' 혹은 '어떻게 죽음을 받아들일 것인가'라는 질문을 다루지는 않는다. 조금 더 명확히 하자면 '어떻게 죽어갈 것인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에 가깝다. 물론 여전히 큰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아니면 충분히 오래 살았기 때문에 죽음이 가시권 안으로 들어온 사람들, 즉 시한부 인생을 사는 사람과 그 가족이 하는 고민이라 한다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의학 기술의 발전 덕에 돈과 의지만 있으면 병원에서 치료 혹은 연명수단을 통해 충분히 죽음을 미룰 수 있는 시대에, 어떻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

우선 책을 읽으면서 책 원제가 참으로 탁월하다 느꼈다. Being Mortal. 마치 언젠가는 죽음을 정복할 것처럼 현대의학기술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한다. 그로부터 삶의 의미를 찾고, 삶의 마지막 순간을 어떻게 보낼 지 결정해야만 한다. 반면 제목 번역은 그다지 와닿지 않았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라니, 너무 진부하잖아.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덮고나니 저 질문이 새롭게 다가왔다. 아툴 가완디라면 (그가 쓴 다른 책들 제목을 살펴보면 모두 한두 단어다) 절대로 부제를 붙이지 않았을테지만, 붙였다면 '어떻게 죽을 것인가'라는 말이지 않았을까. 물론 'How to die'는 아니었겠지만. ('How to give a death'가 괜찮으려나? 모르겠다.)  

아툴 가완디는 책의 앞부분에서 본격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기 전에 오늘날 사람들이 삶과 죽음을 대하는 자세가 이루고 있는 일종의 패러다임을 설명한다. 

첫째로, 현대 사회에서 삶에서 독립(혹은 자율)은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가족의 범위는 줄어들었고, 부모와 자녀마저도 특정 시기가 되면 당연하게 서로 독립한다. 누군가에게 의존하는 삶은 도와주는 사람 뿐만 아니라 그 자신에게도 미안한 일이 되었다. 

둘째로,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나이 들어 죽어 가는 과정은 의학적 경험으로 변질되었고, 의료 전문가들의 손에 맡겨야 하는 문제가 되었다." (p.15) 실제로 인간의 수명은 계속해서 연장되고 있다. 맞닥뜨리면 꼼짝없이 죽음을 기다려야했던 수많은 질병 역시 정복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더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아툴 가완디는 이 삶과 죽음의 패러다임 속에서는 도저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분명히 있음을 강조한다. 사람은 언젠가 분명히 독립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죽음은 단순한 질병이 아니라 생명이 자연스럽게 꺼지는 과정이다. 이 두 사실을 깨닫지 못한 채 갑작스레 눈앞에 죽음을 목도한 사람들은 혼란에 빠지기 쉽다. 그들이 보다 행복하게 인생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이 분명 있을텐데, 저자가 몸담고 있는 현대의학계를 포함해서 현대 사회 전체는 아직도 이 문제를 직면하고 있지 않다. 단적으로 의학계에서는 질병 정복이 노인 돌봄보다 훨씬 가치있는 일로 여겨진다.

책 중반부로 넘어가면서 아툴 가완디는 본격적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해법을 제시하기 시작한다. "노령에 접어들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게 아니라 병실을 비우기 위해 시작된"(p.116) 어빙 고프먼이 말했던 '총체적 기관(total institution)' 사례로서의 요양원 대신 정말 사람이 중요한 '어시스티드 리빙(assisted living)' 기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물론 말뿐인 어시스티드 리빙은 그저 노인의 자녀들에게 안심만을 심어주고 노인을 생각하지는 않는 곳과 다를 바 없다. 

저자 역시 어떻게 하면 어시스티드 리빙이 정말 성공할 수 있는지 - 사업 차원으로나, 그 안에서 살아가는 노인들의 만족 차원으로나 - 뚜렷한 정답을 갖고 있는 건 아니다. 그저 죽음을 앞둔 사람들은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관심사가 일상적인 기쁨과 가까운 가족과 친구로 바뀐다는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이나 시설에 동물을 들여놓으며 노인들이 조그마한 충성심(loyalty)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활력을 불어넣은 '에덴 얼터너티브 프로그램' 등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할 뿐이다. 그는 물론 제대로 된 '어시스티드 리빙'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지만, 그 전에 우리가 문제를 충분히 고민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계속 강조한다.  

아툴 가완디가 책 중반부에서 제도 차원의 해법을 찾고자 했다면 말미에서는 보다 미시적 혹은 개인적 차원에서 노인 혹은 환자와 그 가족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이야기 한다. 물론 우리는 죽음이라는 너무나도 무거운 주제 앞에서 그래도 희망을 노래할 수 밖에 없고 아무리 현실적이더라도 부정적인 말은 피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생기는 단순히 경제적만은 아닌 낭비와 피해가 심하다.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싸우는 방식에서 사람들이 소중하게 여기는 다른 것들, 이를테면 가족, 여행, 초콜릿 아이스크림 같은 것들을 위해 싸우는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때 나누는 일련의 대화"인(p.283) Breakpoint discussion이 중요한 이유다. 

저자는 경험많은 의사답게 의료진에게도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그가 학생 시절 읽었던 의료윤리학 논문 주장을 빌려 의사와 환자가 가부장적(paternalistic, 의학적 권위를 가진 의사가 본인이 생각하는 최선의 처방을 제공하는 것)도, 단순히 정보만을 주는(informative, 환자가 알아서 선택할 수 있도록 의사가 여러 선택지와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아닌 해석적(interpretive) 관계로 재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해석적 관계에서 "의사의 역할은 환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스스로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p.308) 물론 이 해석 과정은 지난하기 마련이고 환자의 욕구 역시 분명하지 않거나 변하기 때문에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단순히 어렵다는 이유로 포기해서는 안되는 관점이기도 하다.

책이 그리는 죽음은 '한편의 이야기를 완결짓는 과정'이다. 그리고 완결에 다다른 사람들에겐 선택지도, 그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할 시간도 많지 않다. 그 과정을 본인의 일로 직접 고민한 사람들은 모두 얼마 안가 스러졌기에 여전히 사회가 그 구성원들에게 얼마나 의미 있는 죽음을 보장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하다. 독자들로 하여금 어떻게 그 어렵고, 무섭고, 두려운 고민을 하게 만들 것인가? 단순히 아툴 가완디 본인이 의사라서 책의 상당 부분을 환자 사례로 채운 것은 아닐 것이다. 특히 저자의 아버지가 서서히 죽음을 향해 가는 과정과 그 안에서 저자도 어쩔 수 없이 경험하는 갈등은 여러 사례 중 하나일 뿐이지만 읽는 사람에게 가장 와닿을 뿐만 아니라 책이 한 권으로 마무리되는데 큰 기여를 한다. 

죽음에 대한 수많은 글은 다소 뻔하게 '우리 모두 언젠가는 죽는다, 심지어 당장 죽을 수도 있다'며 공포를 불러일으킨 후 다시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돌아가곤 한다. 아툴 가완디의 책은 달랐다. 죽음으로 시작해서 죽음으로 끝나는 글이었다. 언젠가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나보내야만 한다. 언젠가는 나 역시 떠나야만 한다. 어떻게 떠나보낼 것인가? 어떻게 떠날 것인가? 

어떻게 죽을 것인가?

원제는 Writing for Social Scientists (1986). 

나는 논문을 포함해서 어떤 글쓰기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배운 적이 없었다. 때문에 석사 학위논문을 쓰면서 극심한 불안감에 빠질 수 밖에 없었는데, 절판되어 구하기 힘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끝끝내 중고로 구매한 하워드 베커의 <사회과학자의 글쓰기>가 큰 도움이 되었다. 그 책을 처음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글쓰기나 방법론에 관한 책을 읽었고, 석사학위논문을 제 때 마칠 수 있었다.

현재 같은 책이 2018년 2월 <학자의 글쓰기>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었다. 

이 책을 통해서 하워드 베커라는 사회학자를 알게 되었고, 애초에 시리즈로 기획한 것은 아닌 것 같은데 어쨌든 <학계의 술책>, <사회에 대해 말하기>로 이어지는 사회과학자를 위한 글쓰기 가이드 3부작을 모두 구매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8년 90세의 나이로 그가 새로 낸 책 <Evidence>는 느낌상 이 3부작을 아우르는 저작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 책도 샀다.) 쭉 읽고 리뷰할 생각.

아래에 내게 특히 인상깊었던 구절들을 옮겨본다.


1-1. "만약 당신이 연구 초기부터 - 예를 들어 모든 자료들을 모으기 전부터 - 글을 쓰기 시작했다면, 조만간에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기 시작할 수 있다. 자료없이 초고를 쓰면, 자신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 더 명료해지며, 그래서 앞으로 수집해야 할 자료들이 무엇인지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즉 글쓰기를 통해서 연구설계 방법을 구체화시킬 수 있다. 바로 이것이 먼저 연구를 하고 나서 "연구결과를 쓰라"는 좀더 일반적인 생각과 구별되는 것이다." (p.43)


1-2. "개요는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개요를 가지고 글을 시작하면 도움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개요에 의존하여 시작하는 대신에, 모든 것을 적어가면서, 가능한 한 빨리 아이디어를 토해내는 방식으로 글을 쓰기 시작한다면, 첫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 - 당신이 작업해야만 하는 미완의 부분은 당신이 방금 적어놓은 다양한 것들이다 - 을 발견할 것이다." (p.102)


 2-1. "해결 불가능한 것을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대신에, 그것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다. 당신은 해결하기 어려운 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를, 당신이 생각하는 해결 방식은 무엇인지를, 왜 덜 완벽한 해결책을 선택했는지를,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독자에게 설명할 수 있다...(중략)...연구에서 흥미로운 딜레마를 구체화시키지 않았다면, 해결 불가능한 문제가 제기되지도 않았을 것." (p.107)

2-2.
 "해결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에 대해 글을 써라. 그리고 그것을 당신의 분석의 초점으로 삼아라...(중략)...당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독자에게 털어놓으려면, 당신도 해결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항상 올바른 방법을 알고 결함 없이 문제를 해결하는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p.111-112)


3-1. "만약 혼자 힘으로 과학적 또는 학문적 혁명을 일으키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 정상과학은 다른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훌륭한 작품을 씀으로써 이해와 지식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연구와 글에서 이런 성과를 이루어낼 수 있는데도, 불가능한 것을 목표로 삼음으로써 스스로 실패를 자초해서는 안 된다." (p.213)

3-2.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인식하고, 지배적
인 이데올로기의 이데올로기적 구성요소를 찾아내고, 그 문제에 대한 좀더 중립적이고 과학적인 입장을 찾아 내려고 노력하는 일이다...(중략)...진지한 학자라면 동일한 주제를 논의하는 경쟁적인 방식들을 일상적으로 점검해야만 한다. 지금 사용하는 언어로는 자신의 의도를 전달할 수 없다는 느낌이 든다면, 그것은 문헌이 우리의 머리를 꽉 채우고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는 것이다...(중략)...문헌을 이용하라. 그러나 문헌이 당신을 이용하게 하지는 말라." (p.2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