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

글쓰기가 두렵다

첫 발간에 참여했기에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는 잡지 <과학뒤켠>에 글을 하나 싣기로 했다.

교육부 연구과제에 대한 글이면 좋을 것 같다는 이야기 외로는 별다른 제약이 없었고, 나도 언젠가 이 주제로 과학뒤켠에 글을 하나 실어야지 하고 있었기 때문에 냉큼 알겠다고 했다. 아니 생각해보면 오히려 내가 편집진한테 넌지시 때가 되면 글 하나 싣겠다고 말했던 것도 같다. 최근 뭣도 모르고 쓴 두 편의 칼럼이 나름 만족스러웠기 때문에 여태 그래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노트를 정리해가며 천천히 생각을 묵히고 토막 글을 쓰다보면 괜찮은 글이 하나 나오겠지 싶었다.

그리고 오늘 내 글이 실릴 <정책>섹션의 장에게 미완의 글을 보내고야 말았다. 절반도 쓰지 못한 채로. 사실 쓴 부분도 확신이 없다. 사흘 마감 연장을 받아내도 사흘동안 잠을 확 줄여가면서 꾸역꾸역 쓰긴 했지만 도저히 무슨 글이 될지 감이 오질 않는다. 한달이 조금 넘게 쓸 시간이 있었는데, 생각을 묵힌다는 이유로 부분부분 결과적으로 별 쓸모가 없었던 노트만 남기고 글쓰기에 돌입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제와서 나는 내가 글쓰기를 두려워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

글쓰기가 두려운 이유는 좋은 글을 쓸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대학원이 아닌 회사를 다니면서 부쩍 읽는 글의 종류가 논문이 아닌 칼럼이나 기사가 많아졌고, 보통 SNS를 통한 추천으로 읽기 때문에 좋은 글을 많이 읽지만 더러 별로 좋지 않은 글도 읽는다. 전자는 배움과 동경의 대상이고 후자는 반면교사로 삼는다. '와 어떻게 이렇게 썼지'라는 생각과 '이렇게 쓰면 안되겠다'라는 생각이 오고간다. 그리고 막상 글쓰기 위해 자리에 앉으면 그런 생각들로 머리가 가득차버린다. 썼다 지웠다를 반복한다. 

반성할 것이 수없이 많지만, 글쓰기에 한정지어 해본다면 내가 여태 '써야만 하는 글'만 써왔다는 것이 치명적이다. 돈을 받거나 직업적인 이유로 글을 쓰는 것에 익숙해졌다. 쓰기로 한 기고문, 정책연구용역보고서, 논문, 수업 RP(Response paper와 research paper) 등 외로는 글을 쓰질 않았다. 이전에 쓴 글(특히 워싱턴 DC에서 썼던 '전인턴 블로그')을 읽으면서 어떻게 별 생각없이 가볍고 쉽게 글을 써왔지 싶을 정도다. 블로그를 연 이유도 가벼운 글이라도 계속해서 써가면서 글쓰기를 생활화하고자 함이었는데, 블로그에 글을 쓸 때도 쉽게 타자에 손이 가질 않는 나 자신을 발견한다. 

잘 쓴 글 = 좋은 글 = 남들이 많이 읽고 잘 읽었다고 생각할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하는 순간 글쓰기가 두려워진다. 아마도 초등학생 때부터 계속해서 발달했을 남다른 인정 욕구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특히 이번 사태가 일어난 데에 있어 첫번째 문제는 글을 쓰겠다고 할 때 당시 내가 무슨 말을 할지 확신이 없었다는 것이다. 

다른 기고문에서는 대충 글의 목적이 이미 내 머릿속에 한마디로 정리되어 있었다. 최근에 쓴 글을 예로 들면 한국대학신문에서는 제목에 썼듯 교수들의 위드유 운동을 제안하고자 했고, 교수신문에서는 조교라는 제도의 현실이 누더기 대학을 기우는 것과 같다는 생각을 가지고 자세히 묘사하는데에 중점을 뒀다. 그런데 지금 쓰는 글은 처음에는 대학원생 인권문제를 두고 나오는 일부 의견을 반박해야겠다 싶다가도, 이건 또 마치 쉐도우복싱을 하는 것만 같아 막연히 더 큰 이야기를 해야겠다 싶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uniqueness, novelty를 엄청나게 따지고 있었다. 새로운 아이디어, 새로운 주장, 새로운 글을 원했다. 하지만 다른 때와 달리 머릿속에 그게 정리되지 않은채로 출발했다. 그래도 괜찮다고 생각했다.

두번째 문제는 내가 이미 이 문제에 대해 전문가가 된 양 자만했다는 것이다. 나는 나 자신을 대학과 학문, 연구와 그에 대한 정책을 연구하는 연구자라고 규정하고 있고, 특히 대학원생 인권 문제에 대해 남들보다 수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읽었다고 자부한다. 아니 이건 자부심이 아니라 부끄러움이다. 남들보다 수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읽었고, 그게 다였다. 그 자료들을 내가 제대로 소화하고 있나? 잘 모르겠다. 연구가 끝났지만 내게 어떤 남다른 인사이트나 아이디어가 있는지 모르겠다. 공개되고 있지 않고 있는 그놈의 보고서도 계속해서 다시 읽으면 부족하기 짝이 없다. 졸업과 취직과 겹쳐서 제대로 집중 못했다고 자위하기엔 내가 너무 시끄럽게 하고 다녔다. 좀 닥칠걸 그랬다.

마지막 문제는 대학원을 나오면서 필연적으로 생긴 문제지만 내가 쓰는 글에 대해 대화를 나눌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대학원에서도 아주 외롭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동료 연구자가 있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중요한 것 같다. 

아이고. 반성할 것 투성이다. 운동을 하며 TV를 틀었더니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나온다. 그는 진짜배기 전문가다. 그와 같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수십번 한 것 같다. 그가 이른바 '솔루션'을 전해주면서 식당 사장들에게 '기본'을 강조한다. 기본이 안된 내가 당장 백종원이 될 수는 없다. 글쓰기의 기본은 일단 쓰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당장 머릿속을 가득 채우고 있는 글쓰기가 두렵다는 생각에 대한 글쓰기를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