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요약:

더보기
  • 2018년 11월 뉴스타파 보도의 '다단계 학회사업' 장본인인 김태훈은 언론사 아카데믹타임즈를 중심으로 C-Index, S-Index, R-Index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를 벌이고 있음
  • 이러한 Index들을 통해 국내 학회와 학술대회, 학술지를 평가하여 등급을 매기는 평가 사업에 눈독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본인이 대표이사로 있었던 학회에 적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사업 확장에 힘쓰고 있음
  • 대학랭킹과 각종 인용색인 사례에서 볼 수 있듯 학계는 자기규율체계의 핵심인 평가제도를 계속해서 아웃소싱해왔고, 그로 인해 생긴 구멍을 이용해 온 연구자들이 적지 않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아카데믹타임즈의 사업이 부실학술활동의 정당화 도구로 쓰인다면 앞으로 학계는 더 썩을 수 밖에 없음

지난 2018년 여름 뉴스타파가 <'가짜 학문' 제조공장의 비밀>이라는 제목으로 '가짜학회' 이슈를 처음 공론화한 이후 한동안 학계 안팎으로 부실학술활동이 화제에 올랐다. 약 1년 동안 공식적인 용어조차 없었던 현상에 '부실학술활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젔고, 뉴스타파 기사에서 언급된 와셋(WASET)과 오믹스(OMICS)를 중심으로 해당 학회에 참가한 연구자들에 대한 조사와 징계가 진행되었으며, 한국연구재단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을 중심으로 예방 가이드라인과 부실학회/학술지 검색 시스템 등이 갖춰졌다.

당시 한 대학원생은 한 교수를 중심으로 꾸려진 다단계 학회사업을 발견하여 며칠동안 조사하여 뉴스타파에 제보를 했고, 해당 내용이 보도되며 역시 학계 안팎으로 작지 않은 충격을 불러온 바 있다. (참고: '아는 사람 이야기': 뉴스타파 보도 <현직 교수, 페이퍼컴퍼니 끼고 '다단계 학회사업'> 제보) 이후 기사에서 언급된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HSST)의 등재지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AJMAHS)>와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SERSC)의 등재지 <보안공학연구논문지(JSE)>는 등재탈락을 면치 못했고, 두 학회들(지만 주식회사였던 곳)은 사실상 문을 닫은 것으로 보인다.

이 정도면 대충 마무리 된 것 아니냐고 물을 사람들도 있을테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문제시 된 와셋과 오믹스, HSST와 SERSC만 주목을 받고 언론에서 다루지 않은 수많은 부실학회 및 학술지, 혹은 부실의심학술활동(questionable research practices)은 거의 공론화되지 않아 매우 안타까웠다. 이전에도 지적했듯 특정 학회나 학술지를 '가짜' 혹은 '부실'이라고 규정하기는 굉장히 어려운 일이며, Beall's List나 Cabells' Predatory Reports와 같은 블랙리스트를 쓰거나 Web of Science나 Scopus와 같은 저명한 학술인용색인을 화이트리스트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평가제도를 포함한 학계의 자기규율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는 이상 더 교묘해질 뿐이다.

서론이 길었는데, 오랜만에 부실학술활동을 주제로 글을 쓰게 된 건 SNS를 통해 한 선생님께서 다단계 마케팅을 차용한 학술대회 학술위원 초청 이메일을 제보해주셔서 관련 내용을 조사하다 발견한 내용을 공유하기 위함이다.

일단 해당 이메일은 부실학회가 전형적으로 보이는 패턴에 따라 학술대회를 운영할 학술위원을 모집하고 있었다. 학술위원에게 마감일 연장혜택과 함께 논문 투고를 조건으로 내걸고, 가입비를 내고 이사회원이 되면 자신만의 세션을 구성해서 해당 세션 논문들에 등재지 게재 기회를 준다고 한다. 2편 이상 투고 시 영문논문에 한해 편당 등록비 10%를 할인해준다는 혜택인지 아닌지 알 수 없는 내용도 있었다.

많이 본 수법인 것에 더해 두 가지가 눈에 들어왔다. 1) 이메일 제목에 언급된 '2021년 6월 3차': 상반기인데 이미 3차까지 학술대회를 한다는 건 1년에 6회를 한다는 뜻으로, 꽤나 큰 학회조차 계절별 학술대회를 여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흥미로운 숫자였다. 2) 학회 이름이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FuCoS)': 이름에서부터 불길한 예감이 든다. (...)

학회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간단하게 조사를 해보니 '다단계 학회사업'의 장본인 김태훈 교수가 대표이사로 있던 아태인문사회융합기술교류학회(SoCoRI)가 이름을 바꾼 것이었다. 2018년 뉴스타파 보도 당시엔 HSST와 SERSC가 등재지인 AJMAHS와 JSE를 활용하여 성행했다면, 둘 모두 등재탈락한 후에 SoCoRI가 2019년 산하학술지인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APJCRI)>를 KCI에 새로 등재시키는데 성공하고 FuCoS로 이름을 바꿔 운영중이었던 것이다. HSST와 SERSC와 마찬가지로 학회장과 학술지 에디터는 모두 해외 학자라고 써져있지만, KCI에는 다른 국내 교수가 학회장으로 등록되어 있고, 등기사항으로도 역시 대표이사는 다른 사람이었다. 김태훈 교수는 2018년 11월 뉴스타파 보도 직후 사임했다고 나온다.

아, 말이 나왔으니 첨언하자면 김태훈(2018년 뉴스타파 보도 당시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 교수)은 더이상 교수가 아니다. 해임당했는지 자진 사임했는지 공식적인 자료는 찾기 어려웠지만, 일단 성신여대 홈페이지에서 이름을 찾을 수 없었고, 가명을 썼지만 누구를 이야기하는지 대충 다 알 수 있는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기사에 따르면 김태훈에 대한 후속 취재로 억울한 사정이 밝혀졌다고 하지만 나는 접한 바 없고, 김태훈과 HSST 회장 김행곤 대구가톨릭대 교수간의 사이가 틀어진 건 분명해보인다. 기사는 신청만 하면 누구나 기자가 될 수 있는 '한국공보뉴스'에서만 찾을 수 있었는데, 흥미롭게도 기사가 작성된 성북본부의 장이 김태훈이다. 동명이인일까? 아니라는 증거를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FuCoS의 학술대회 웹사이트에서 또다른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우리 학회는 부실 학술대회 예방을 위해, C-Index 평가기준(http://www.actimesnews.info/)을 준수합니다.

우리 학회는 발표 장면을 녹화하여 DMI 등록(http://www.digitalmediaid.org/)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학회는 부실 학회 예방을 위해, S-Index 평가기준(
http://www.actimesnews.co.kr/)을 준수합니다.

우리 학회는 부실 학술지 예방을 위해, R-Index 평가기준(http://www.actimesnews.kr/) 및 Trace of Reveiw 평가기준(http://actimesnews.net/)을 준수합니다."

처음 듣는 "index"들의 향연에 잠시 어지러워 숨을 골라야 했다. 각 사이트에 들어가 내용을 확인하고 난 후 김태훈의 후속사업이 어디로 향해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다름 아닌 Web of Science나 Scopus가 임팩트 팩터 등 인용지표로 학술지를 줄세우고 각종 기관이 대학랭킹을 만들어 대학에 순위 내지는 등급을 매기듯이 한국연구재단이 시행중인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등재 제도에서 더 나아가 국내 학회와 학술대회, 학술지에 점수 및 등급을 매기는 평가 비즈니스 모델이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 각 사이트에 적힌 index들의 설명을 자세히 다루지는 않을 것이다. 다단계 학회사업의 장본인의 구상이라는 이유로 이 index들이 모두 '가짜'라거나 속임수라고 주장할 생각도 없다. 오히려 내가 이전에 '해킹'이라는 단어를 썼듯 김태훈이라는 시스템 해커는 부실학술활동을 둘러싼 학계의 문제점을 정확히 알고 있다. 그는 이를 정당하든 아니든 자신이 고안한 비즈니스 모델로 수익화를 꾀하고 있다는 게 내 해석이다. 이런 활동에 얼마나 학계를 위한 진정성이 있는지는 사실 별로 중요하지 않다. 각 사이트를 살펴본 후 '이런 좋은 일을 하려는 사람이 있구나'하며 김태훈에게 고마운 마음을 가지는 사람이 있어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일단 이 index들이 모두 김태훈의 작품임은 각 사이트에서 언급하고 있는 상위기관인 '아카데믹타임즈'를 통해 알 수 있다. 실제로 모두 actimesnews를 도메인 주소 제목으로 삼고 있고, 이들을 백링크하고 있는 아카데믹타임즈라는 곳은 다름 아닌 언론사다. 홈페이지에서 명시하고 있진 않지만 김태훈이 대표로 있다. 사무실 역시 김태훈이 일하던 성신여대 근처이기도 하다. 동명이인일 확률도 있지 않을까 싶어 각 기사 작성자 이메일을 확인했다. 대부분 taihoonn@empas.com으로 되어있다. 그가 논문을 정말 많이 쓴 생산적인 연구자였던만큼 구글링을 통해 김태훈의 이메일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카데믹타임즈의 기사들은 대부분 보도자료를 그대로 가져다 쓴 형태인데, 반대로 다른 언론사에 기사를 작성해서 보낸 사례도 있다. 바로 C-index를 비롯한 아카데믹타임즈의 사업을 홍보하기 위한 보도자료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한국공보뉴스에 실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는 이영경 기자를 통해 주기적으로 간접광고(PPL)라는 느낌을 지우기가 어려운 기사를 내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유명 유튜버 보겸이 사용하는 '보이루'라는 인사말을 여성혐오로 해석한 윤지선 교수의 <철학연구> 논문이 이슈화가 되자 은근슬쩍 R-Index에 따르면 <철학연구>의 평가점수가 높지 않다고 지적하는 기사를 올린 바 있다. 해당 기사를 작성한 이영경 기자의 이름 역시 익숙해서 다시 찾아보니 법인등기 상으로 FuCoS의 대표이사와 같았다. 동명이인인지 확인은 하지 못했다.

아카데믹타임즈의 Index 사업들은 만든지 얼마 되지 않은만큼 자리잡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쪽에 관심이 많은 나조차도 이번에 처음 들었을 정도라면 인지도가 높지는 않은 듯 하다. 하지만 대학랭킹과 마찬가지로 각 학회의 의사와 상관없이 일단 순위나 등급을 매기기 시작하고 나중에 인지도가 생기기 시작하면 평가기관의 공신력이나 방법론의 엄밀성과 무관하게 모두가 신경쓰는 Index로 자리잡을 가능성도 작지 않다. 아카데믹타임즈 역시 이를 잘 알고 있다는 듯 일단 등급을 다 매겨놓았다.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는데, 깨알같이 FuCoS(이름 변경 전 SoCoRI)와 산하 학술지는 모두 가장 높은 S 혹은 A 등급이 매겨져있는 것도 흥미롭다.

다시 말하지만 아카데믹타임즈의 이러한 Index 사업들이 어떻게 학회/학술대회/학술지를 평가하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이 글에서 Index마다 나름 자세히 써져있는 설명을 하나하나 읽고 분석하지 않은 이유다. QS나 THE, 중앙일보 등의 대학랭킹도, Web of Science나 Scopus와 같은 학술인용색인도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신경쓰는 사람은 극소수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한 자가 벌여놓은 판에 하나둘씩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 어느새 모두가 참여자가 되어 높은 순위나 등급을 차지하기 위해 애쓰는 게임이 된다.

처음으로 돌아와서 FuCoS가 개최하는 학술대회(고맙게도 아카데믹타임즈가 운영하는 것으로 보이는 "학술 발표가 정상적으로 진행된 것이라는 증거"를 관리해주는 DMI라는 서비스 덕분에 FuCoS 학술대회의 모든 발표를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와 발행하는 학술지를 살펴보자. '융합', '학제간연구'를 표방하고 있지만 정말 융합 내지는 학제간연구를 시도한 연구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다양한 학문분야 연구들이 모인 메가컨퍼런스 및 메가저널(megajournal)이다. 때문에 더더욱 학술대회나 학술지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참여자 간의 학술적 교류가 제대로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하기가 힘들다. 다른 곳도 마찬가지겠지만 뉴스타파가 WASET에서 했던 것처럼 아예 가짜 논문을 제출하고 걸러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지 않는 이상 FuCoS를 비롯한 다른 여러 학회들을 가짜학회 혹은 부실학회로 규정하기는 힘들다. 나 역시도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느낌상 혹은 정황상 그런 쪽에 가까워보인다고 할 수 있을 뿐이다. 김태훈이 2018년까지 운영했던 (혹은 지금도 운영중인) 다단계 학회사업 역시 이런 배경 위에서 가능했다.

김태훈이 새롭게 벌이고 있는 사업은 이러한 부실 및 부실의심 학술활동의 정당화 도구로도 쓰일 수 있다. 각종 Index 상으로 보았을 때 형식적으로 괜찮다는 곳을 학술활동의 내용을 토대로 문제삼기는 매우 힘든 일이다. 그리고 연구자들은 귀신같이 이런 구멍을 잘 찾아내어 활용할 수 있다. HSST의 등재지 AJMAHS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년에 무려 1000편이 넘는 논문을 실었다. 우리나라에서 게재한 논문 중 6% 이상이 부실학술지임에도 불구하고 Scopus에 등재된 324개의 학술지에 실렸고, 이는 OECD 국가 중 압도적인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연구) 김태훈은 보다 큰 뜻이 있어 제 발로 교수직을 던지고 대학을 나온 듯 하지만 (돈이 되는 사업이 눈에 보이고 교수직이 방해만 된다면 왜 그러지 않겠는가?), HSST 회장 김행곤 교수는 작년 대구가톨릭대에서 30년 근속상을 받을 정도로 별 문제없이 학계에 머물고 있다. 부실학술활동을 통해 교수에 임용되고 승진하고 자리를 유지한 사람들은 있지만 밝혀진 후에도 처벌받은 사람들은 별로 없다. 시스템 해커들과 그들이 뚫은 백도어를 부단히 활용한 연구자들로 인해 학계는 병들어가고 있지만 겉보기엔 문제가 없어보이니 아무도 소리높여 문제를 이야기하지 않는다.

이게 끝이라고 생각하는가? 퇴근 후나 주말 밖에 시간을 못 내고 이런 곳에 돈 쓰기 쉽지 않은 사회초년생이다보니 스모킹건을 확보하기 어려워 아쉬울 뿐이다. 이쯤되면 내가 왜 요지경 학계에 애정을 갖고 연구자가 되고 싶어하는지도 혼란스러운 지경이다.


...라고 한 대학원생이 글을 써서 보내왔다. 화이팅.

오늘 오랜만에 뉴스타파가 다시 '가짜학회' 보도를 내놓았다.
<현직 교수, 페이퍼컴퍼니 끼고 '다단계 학회사업'>이라는 제목이다.
시청과 일독을 권한다.

https://youtu.be/Bah1Ow8W8x8

한편, 7월 중순 뉴스타파가 첫 '가짜학회' 보도를 내놓은지 얼마 안된 8월 초.

비슷한 주제에 깊은 관심이 있던 한 대학원생은 뉴스타파 보도에 깊은 감명을 받고 전부터 의심스러웠던 학회를 다시 파기 시작했다.

그리고 얼마 안 가, WASET이 학계와 무관한 사람이 가족비즈니스를 한 사례였다면, 우리나라에는 교수가 직접 비슷한 사업을 꾸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실상 내부에서 해킹을 아무렇지 않게 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해당 사업에 참여하거나 사업을 '써먹은' 교수 규모를 고려했을 때 일개 대학원생이 터뜨리기엔 위험하겠다는 두려움이 일지 않을 수 없었다. 내가 봤을 땐 그 대학원생이 무척이나 소심했던 것 같다. 지금도 신분은 밝히고 싶지 않다면서 제보했다는 사실은 알리고 싶어한다니 참으로 찌질한 친구인 듯 하다. 어쨌든 그는 직접 그 학회와 연루자를 파는 대신 뉴스타파에 아래와 같은 제보를 했다고 한다.

두 달이 지나도록 연락도 오지 않고 관련 보도가 되지 않아 실망해하던 그 대학원생은 오늘 영상을 보고 희열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꽤나 오래 비슷한 주제에 관심을 가져온 사람으로서 제보 내용 이상으로 한걸음 더 들어간 뉴스타파에 너무나도 큰 고마움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고마운 것은 고마운 거고, 나는 이제 더이상 대학 교수와 출연연 연구원을 포함한 학계 구성원, 연구재단 직원, 교육부나 과기정통부 공무원 모두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이 문제를 덮고 넘어가려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 손놓고 있어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누차 말하지만 논의의 시작은 학회와 대학에서부터 이뤄져야 한다. 그런데 가장 치열하게 이 문제를 고민해야 할 학회와 대학이 너무 조용하다. 이 침묵을 누가 깰 것인가? 학계가 정말 이 소심하고 찌질한 대학원생보다 못한 사람으로 들어찼다는 것인가?

------------------------------------

안녕하세요 뉴스타파 기자님, 
xxxxxxxxxxxxxxxxxxxxxxx입니다.

저번 WASET 관련 보도 상영회 때 참석한 적이 있고, 신우열 연구원님께서 해당 행사 때 제 발언 인용을 위해서 연락을 나눈 바 있습니다.

이렇게 연락드리는 이유는 다름 아니라 한국형 WASET에 대한 제보를 하기 위함입니다.
관련 주제로 연구를 하면서 투고 요청을 받은 것도 있고 해서 주제를 파다보니 알게 되어 지난 일주일동안 나름 틈틈이 추적하긴 했는데,
제 힘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 같아 혹시 뉴스타파에서 관심이 있다면 취재를 하는 것이 어떨까 하여 말씀드립니다.

개요부터 간단히 말씀드린다면,

우리나라를 기반으로 한 (정황상) predatory publisher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SERSC(Science & Engineering Research Support soCiety)와 Global Vision School Publication은 conference convenor이자 publisher이며, APAIS(Asia - Pacific Academic and Industrial Services)라는 별도 Convenor를 두고 있기도 합니다.

해당 convenor가 여는 conference는 두 학회 HSST(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the convergent research society among Humanities, Sociology, Science, and Technology)와 SoCoRI(아태인문사회융합기술교류학회, Asia-pacific Society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를 중심으로 회원을 포섭하여 돌아가는 것으로 보이며, 두 학회가 함께 발간하는 국내 저널이 하나 있고(APJCRI,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아태융합연구교류논문지), HSST가 발간하는 국내저널이 하나 또 있습니다(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후자는 KCI 등재지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두 저널 모두 SERSC가 publisher 역할을 하고 있구요.
HSST, SoCoRI, APAIS, SERSC 한국 지부(?)는 대전에, SERSC 본부와 GV School Pub는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매니아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주요 인물과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SERSC는 이미 2013년 Science지에서 진행한 연구에 가까운 탐사보도(Who's afraid of peer review? http://science.sciencemag.org/content/342/6154/60)에서 가짜 논문을 해당 publisher가 발간하는 Open access journal 중 하나에 실으려 한 바 있습니다. 자료를 보면 국내에 SERSC 말고도 Editor가 한국으로 잡힌 경우와 함꼐 몇 개 더 있으나 지금은 확인되지 않고있고, SERSC는 건재합니다. 오히려 앞서 말씀드렸듯이 APAIS, GV School Pub. 등으로 확장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사해보시면 어렵지 않게 다 같은 뿌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ERSC에서 GV School Pub으로 넘어간 저널이 몇개 있습니다)

SERSC는 Scopus 등재지를 몇 개 갖고 있고, 이는 HSST와 SoCoRI 등을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SERSC, APAIS에서 여는 predatory conference에 참석하게 되는 주요 이유로 보입니다. 꼭 같은 뿌리에 있는 publisher에서 나온 저널이 아니더라도 연루된 주요 인물들을 통해서 각종 SCI(E) 급 저널의 Special Issue에 논문을 실을 수 있는 기회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HSST 홈페이지 게시판 참조) HSST는 굉장히 흥미로운 - 다른 학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 등급 체계를 가지고 운영되는데, SS급, S급으로 등록된 학회 회원 연구자들은 심사 없이 빠르게 SCI(E)내지는 Scopus 저널에 실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도 합니다.
(여기서 제가 막힌 지점은 어떻게 그게 가능한지입니다. 추측은 가나 밝히기가 매우 힘듭니다.)

앞서 잠깐 언급한 주요 인물은 지금까지 확인된 바로 김태훈(성신여대 교수)와 김행곤(대구가톨릭대 교수)입니다. 두 사람이 어떻게 이어지는지는 모르겠으나 김태훈 교수는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매니아 대학에서 강병호 교수 밑에서 비교적 최근 두번째 박사 학위를 받았고(첫번째 박사는 영국 브리스톨대), 해당 대학의 위치가 우연하게도(!) GV School Pub과 SERSC 주소와 가깝네요. 실제로 김태훈 교수는 태즈매니아 대학 시절 GVSA(Global Vision School Australia) 소속도 함께 기재한 바 있습니다. GVSA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분히 종교적인 이름이긴 하나...

김행곤 교수의 경우 SERSC와 같은 약자를 가진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의 장을 역임한 바 있고, 역시 비교적 최근 영국 브리스톨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습니다. 그런데 해당 센터와 앞서 말씀드린 SERSC는 단순히 약자만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홈페이지도 공유하고 있을 뿐더러,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듯 컨퍼런스 회비 입금을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로 받고 있습니다. http://www.conferen.org/UNESST2018/reg.php SERSC가 Society로 끝나는데 굳이 C를 약자로 쓴 이유가 있어 보입니다. 참고로 해당 센터는 (주)를 앞에 달고 있습니다. 회사라는 이야기지요.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홈페이지는 해당 센터가 발간하던 저널(보안공학연구논문지 - 역시 등재지입니다) 이름을 딴 홈페이지로 돌려놓았는데(http://jse.or.kr/insiter.php?design_file=home.php), 연혁은 김행곤 교수 회장으로 끝나있지만 회장 인사말은 Sebah Mohammed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이 사람은 다른 약어의 처음 언급한 SERSC의 회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www.sersc.org) 마지막으로 김행곤 교수는 현재 HSST의 회장입니다.

여기까지 밝히는 건 시간만 좀 걸렸지 어렵지 않았으나, 문제는 SERSC와 GV School Pub에서 발간한 저널에 여전히 한국사람들이 논문을 게재하고 있고, 국내와 해외(주로 가까운 아시아)를 번갈아가면서 열리는 학회에 참석하고 있다는 점과 그 수가 적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름에 해당 문자가 들어간 사람이 있어 전부는 아니겠지만 NTIS에 검색해보면 SERSC가 발간하는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것을 성과로 등록한 건이 300건이 넘습니다. 알려드린 약어들로 구글링해서 사이트를 들어가서 조금만 찾아보셔도 WASET과 크게 다를바 없다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본 글에서는 추측에 가까운 제 사견은 최대한 배제하고, 제가 확인한 사실들만 기재했습니다. 본 사안이 중요한 이유는 학계에 있는 연구자들이 해외 몇몇 predatory publisher나 convenor에 속거나 이용하거나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아예 만드는 전략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이 학회/집단 말고도 의심이 가는 학회/집단이 몇몇 더 있으나, 증거를 확보하려면 사실상 직접 접근하는 수밖에 없어 더 말씀드리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SERSC는 인터넷으로 찾는 것만으로도 비교적 확실한 정황 및 증거가 적지 않아 제보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본 사안이 뉴스타파의 WASET 관련 후속 보도 방향과 비슷하거나 관심이 있으실 경우 제게 연락주시면 되겠습니다. 처음에는 개인적으로 SciGen 등을 활용해서 Science지나 뉴스타파가 했던 것처럼 준비해서 터뜨릴까 했는데 파다보니 그러기에는 너무 크고 적지않은 교수들이 연루된만큼 저도 두려움이 적잖이 생겨서 제보를 드리게 되었습니다. 후속보도 계획이 없거나 방향이 맞지 않은 경우 알림 연락 하나만 주시구요.

그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드림.

p.s. 증거가 되는 자료는 모두 인터넷으로 접할 수 있어 링크만 남깁니다.

HSST 홈페이지: http://hsst.or.kr/default/
SERSC 홈페이지: http://www.sersc.org/
GV School Pub 홈페이지: http://gvschoolpub.org/
APAIS 홈페이지: http://www.apais.or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또다른 SERSC) 홈페이지: http://jse.or.kr/

+ Recent posts